부산시청 전경. ⓒ 박비주안 기자
[프라임경제] 부산시가 차세대 항공산업 글로벌 공급망 주도를 위한 첫걸음을 뗐다. 시는 3월26일 오후 2시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키고, 지·산·학·연 36개 기관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의체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 항공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시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미래항공산업 육성계획의 핵심 거점이다. 참여 기관들은 기술개발, 기반시설 구축, 제도 개선 및 규제 해소 등 항공산업 관련 주요 정책을 협의체 내에서 논의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맡는다.
협의체는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며, 실무협의체는 첨단산업국장이 주재해 신규 사업 아이템 발굴과 산업 동향 공유를 정기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간사기관은 부산테크노파크가 맡는다.
시는 항공복합재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진입을 위해 지난 2022년부터 약 28억 원을 자체 투자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부품 개발, 민항기 경량화 기술 등 연구개발을 지원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한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유치하며 첨단제조 실증센터 구축에 착수했다.
이번 협의체 출범은 부산시가 제2에코델타시티 내 그린벨트 해제와 산업단지 지정 등 제도 기반을 마련해 기업 유치를 활성화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를 집적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아울러 항공복합재 기술 중심의 국제 공동연구,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도 병행해 추진된다.
시는 미래항공 클러스터 조성과 함께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등 미래형 항공모빌리티 분야에서도 시범사업과 실증 프로젝트를 연계해 국내 기술의 자립성과 상용화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에어버스 씨티씨(CTC) 연구개발 사무소 유치를 통해 국내 항공기업과의 공동 R&D도 가시화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협의체 출범은 부산이 기존 우주항공 클러스터와 차별화된 미래항공산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신호탄이다"며 "부산 미래항공 클러스터가 글로벌 항공부품 시장에서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아시아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