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집 팔아도 빚 못갚아 '고위험가구' 40만 육박…지방 집값 하락 시 취약

전체부채 4.9% 차지…고위험가구 중윗값 DSR 75%·DTA 150.2%

박대연 기자 | pdy@newsprime.co.kr | 2025.03.27 14:55:13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채무상환능력이 위태로운 '고위험가구'가 40만 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자산을 팔아도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 가구'가 40만 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 38만6000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억원으로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가 40%를 넘고, 자산대비 부채비율(DTA) 100% 초과인 가구를 의미한다. 소득과 자산 측면에서 모두 부채 상환 능력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지난해 고위험가구 비율은 지난 2023년(3.5%)에 비해 하락했지만 2022년(2.6%)에 비해선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장기 평균인 3.1%와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지난해 고위험 가구의 DSR과 DTA 중윗값은 각각 75%, 150.2%로 집계돼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고위험가구의 중윗값은 DSR과 DTA가 각각 70.9%, 149.7%로 나타났고, 수도권 고위험가구는 각각 78.3%, 151.8%로 집계됐다.

주택 가격의 하락은 특히 수도권보다 지방의 고위험 가구 증가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됐다.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와 주택 가격 변화 기대를 반영해 전망한 결과, 지난해 말 지방 및 수도권의 고위험가구 비중은 각각 5.4% 및 4.3%로 나타났다. 지방 고위험가구 비중이 1.1%p(포인트) 더 높다. 올해 말에는 지방(5.6%)과 수도권(4.0%)의 고위험가구 비중 차이가 1.6%p까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에 비해 부진한 가운데 최근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며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 대응 방안의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