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지난 27일 건조한 봄날씨와 태풍급 바람(순간 초속 27m 내외)으로 인해 경북 5개 시·군(의성, 안동, 영양, 영덕, 청송)으로 확산된 산불에 대응해, 과학적인 산불 진화 전략 수립을 위해 위성 정보를 활용한 전체 화선 분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경북 의성 산불피해영향권 분석(VIIRS기반, 3.25기준). ⓒ 산림청
이번 산불은 전례 없는 확산 속도를 보였다. 25일 오후 서쪽 선단지 화선으로부터 영덕 강구항까지 비화됐으며, 불티가 12시간 이내에 최대 51km를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불티가 민가와 산림에 동시에 떨어져 불길을 키운 악순환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매핑 드론, 적외선 탐지 비행기, NASA Suomi NPP 위성에 탑재된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 등을 총동원해 전체 화선을 이미지로 작성했다. 이를 통해 지상에서 드론을 이용해 화선을 고해상도로 지도화하고, 해양경찰청 소속 고정익항공기를 이용해 산불의 최외곽 좌표를 파악했다.
또한, NASA의 위성 기반 기술을 통해 전국 대형 산불의 위치와 확산 방향, 경계 정보를 수집하며,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는 375m 해상도로 산불 발생 지역의 고온 영역을 감지해 정확한 산불 탐지가 가능하다. 이 센서는 넓은 지역을 한 번에 관측할 수 있어 대규모 산불 추적에 유용하다.
내년에는 농림위성이 발사돼 5m 해상도로 한 번에 120km를 촬영할 수 있어, 기존 위성과 융합해 더욱 정확한 대형 산불 모니터링과 진화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기상 악화 속에서도 대형 산불 화선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북 지역 대형 산불 진화 전략을 고도화하고 주민 대피 동선 확보 등 실효성 있는 대응 방안을 마련해 국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