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서울 연립·다세대 거래량이 반등하며 월세 선호 경향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전국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역대 최초로 60%를 넘어섰다. 지방 다세대·다가구 등 비(非)아파트에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이는 1∼2월 기준 해당 비율은 △2021년 41.7%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증한 후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선 것으로, 4년만에 20% 포인트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특히 지방의 월세화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수도권(60.2%)은 1년새 3.1%p 늘었으며, 같은 기간 지방(63.5%)은 5.4%p 증가했다. 아파트 월세 비중은 매년 소폭 오르고 있지만, 빌라 등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1∼2월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2%로 1년새 2%p 늘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동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p 증가했다. 서울은 76.1%, 수도권도 73.2%로 70%대에 머물렀지만, 지방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82.9%로 한층 높았다.
부동산 업계는 지난 2년간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주요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집값이 정체된 상황에서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었다"면서 "이 가운데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자 임대인의 월세 선호가 더 강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