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트럼프發 관세에 K-푸드 직격탄, 식품업계 "가격 인상 불가피"

美 생산시설 없는 기업들 비상…'관세 리스크' 직면

배예진 기자 | byj2@newsprime.co.kr | 2025.04.03 11:04: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 백악관 공식 유튜브 캡처


[프라임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상대로 새로운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도 최대 25%의 상호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유통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조치는 한국의 주요 수출 산업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식품, 화장품, 의류 등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현지 시장에서 경쟁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데이비드 프렌치(David French) 전미소매연맹(NRF) 부회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결국 미국 소비자들에게도 부담이 될 것"이라며 "한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관세 폭탄은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던 K-푸드의 대미 수출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가격 경쟁력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K-푸드 대미 수출액은 15억93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1.2% 증가했다. 대미 수출액 증가율은 전체 증가율(9.0%) 대비 2배 이상 높다.

우리나라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미국에 무관세로 제품을 수출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판매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져 중저가 제품 위주로 미국 시장을 공략했던 한국산 식품의 경쟁력이 약화할 수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관세 전쟁으로 인한 비용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미국에 생산시설이 없는 업체라면 임대 공장을 통한 생산 방식으로 관세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관세 부과는 곧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현지 소비자들 불만이 나올 수 있는 만큼 세율을 높게 매기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불닭볶음면' 수출로 역대 최대의 영업이익을 거둔 삼양식품(003230)이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해외 공장이 없는 삼양식품의 수출 비중은 지난해 3분기 기준 77%까지 높아졌다. 미국을 포함한 미주는 지난해 해외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8%로 전년보다 8%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중국을 제치고 최대 시장이다.

삼양식품 측은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경우 제품 판매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예상한다. 지난 2월 트럼프 관세 정책 예고에 삼양식품 관계자는 "가격이 올라가면 매출이 줄어들 수 있다"며 "미국 판매법인에서 유통업체에 공급하는 가격을 올릴지, 아니면 마진을 줄일지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오뚜기(007310)는 미국 생산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부지 확정 후 미국 당국의 인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다. 따라서 현재는 국내에서 생산한 제품을 수출하는 방식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해 있어 이번 관세 부과 영향권이다. 대상(001680)은 미국에 공장이 있지만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 더 많다. 대상의 미국 매출은 지난해 1400억원 규모로 김치 매출이 가장 높았다.

CJ제일제당(097950)은 2019년 인수했던 냉동식품 기업 슈완스 공장을 비롯해 미국에만 생산공장이 20개가 있다. 해외 매출 중 절반 이상이 미국에서 나오는 만큼 현지 생산 프로세스를 안정적으로 구축해뒀다. 아울러 오는 2027년에도 7000억원을 투자해 미국 중서부 수폴스에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CJ제일제당은 2023년 말 미국 김치 제조업체 코스모스푸드를 인수하고 '슈완스 코스모스푸드'로 사명을 변경해 '비비고 김치'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김치의 주 원료인 배추, 무 등도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어 농산물 관세 부담도 덜었다.  

식품업계는 수출국 다변화나 가격 인상 등 관세율 구간별 대응책을 준비를 위한 내부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정부 정책이 임기 내 어떻게 변동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현지 공장 증설, 설립 등을 실행에 옮기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미국 브랜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및 유럽 브랜드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계획"이라며 "특히 국내 생산 제품을 확대해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미국 시장에 집중한 중소기업의 경우 공장을 짓거나 수출국을 다변화하는 등 유연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며 "기업들은 정부 지원과 함께 트럼프 정부의 정책별 대응책을 마련하고, 국가별 경쟁 상황을 파악하고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미국 측과 협상을 통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국내 기업들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의 경제 주권을 되찾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하며, 추가적인 보호무역 조치를 예고한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 유통업계는 한층 더 신중한 대응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