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제약바이오업계가 근육량 감소를 줄이면서 평균 체중감소율 20%를 상회하는 차세대 비만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비만 치료 시장을 강타하는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기반 비만치료제는 15~20% 수준의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나지만, 감량 체중의 최대 40% 수준의 근육 손실이 따른다는 지적이 있다.
인체에서 근육이 빠지면 면역력이 떨어져 바이러스 감염, 낙상 사고 위험이 커진다. 근육의 대사조절 기능도 떨어져 당뇨병·고지혈증 등과 같은 합병증이 생긴다. 고령자일수록 사망 위험도 커질 수밖에 없다. 요요 현상 없이 체중 감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근육 유지가 필요하다.
한미약품은 체중 감량과 동시에 근육을 증가시키는 비만치료제 'HM17321'을 개발 중이다. 이 약물은 GLP-1 계열의 인크레틴 수용체가 아닌 'CRF2 수용체'를 타깃으로 한다. 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면서 근육은 늘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작년 미국비만학회에서 발표된 비임상 결과에 따르면, GLP-1 약물 '위고비' 수준의 감량 효과를 보이면서도 근육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에서 판매 중인 비만환자용 의약품 위고비. © 연합뉴스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이미 GLP-1 기반의 '젭바운드'의 성공에 이어 근육 감소를 막는 새로운 물질을 확보했다.
릴리는 2023년 '비마그루맙'을 개발 중이던 버사니스 바이오를 약 2조8000억원에 인수했다. 비마그루맙은 지방 세포와 근육 세포 모두에서 발견되는 액티빈 수용체인 '액티빈 2형'을 표적 삼아 비만을 퇴치하는 항체 물질이다. 이 수용체를 통한 액티빈 신호전달이 내장 지방 축적을 촉진하고 근육 성장을 억제한다. 해당 임상연구는 액티빈 신호 전달을 차단해, 근육량 증가를 촉진하고 지방 줄이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내 바이오업계도 근손실 방지형 비만 치료제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은 근육 손실을 막으면서 지방을 줄이는 펩타이드 신약을 개발 중이며, 지놈앤컴퍼니 역시 초기 단계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근육 손실을 막으면서도 평균 체중감소율은 20%가 그 기준으로 형성되는 분위기다.
암젠의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인슐린 분비 자극 펩타이드(GIP) 계열 비만 신약후보물질 '마리타이드'는 임상2상에서 성공적인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했다.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 이상반응은 위장관 관련 문제로, 메스꺼움, 구토, 변비 등이 보고됐다. 메스꺼움과 구토는 주로 첫 투여 시에 발생했으며, 용량 조정 시 그 빈도는 크게 줄어들었다. 메스꺼움은 평균 6일, 구토는 1~2일 이내에 증상이 해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량 조정군의 경우, 이상 반응으로 인한 중단율은 약 11%, 위장관 관련 문제로 인한 중단율은 8% 미만이었다.
암젠은 이번 2상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과 관련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MARITIME'이라는 3상 임상 프로그램을 개시할 계획이다.
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 젭바운드에 이어 차세대 비만신약 레타트루타이드의 임상3상 TRIUMPH-2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임상2상에서 레타트루타이드는 48주차에 8mg와 12mg을 투여했을 때 각각 22.8%와 24.2%의 체중 감소 효과가 입증됐다. 이는 기존 GLP-1과 GIP를 타깃하는 마운자로의 20.2% 대비 더 높은 체중 감소 효과다.
노보노디스크는 비만 분야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 삭센다에 이어 새로운 비만 신약 '카그리세마'의 글로벌 임상3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카그리세마는 위고비의 주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 2.4 mg과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 카그릴린타이드 2.4 mg 복합제다.
이 치료제는 차세대 비만신약으로 평가된다. 카그리세마는 임상에서 기존 세마글루타이드 단일제 등과 비교했을 때 체중 감량 효과를 23% 확인한 바 있다. 임상 예상 종료 시점은 내년 1분기로, 이후 노보노디스크는 전 세계 주요 규제기관에 허가 신청을 진행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한 감량 수치보다 요요 방지, 투여 편의성 등 '감량의 질'이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기존 감량률 경쟁에서 건강하게 감량하는 '정밀 비만 치료'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