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해외시황] 뉴욕증시, 관세 잡음에 롤러코스터…나스닥 0.10%↑

WTI, 2.08% 내린 60.70달러…유럽증시 일제히 '하락'

박진우 기자 | pjw19786@newsprime.co.kr | 2025.04.08 08:29:10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관세를 둘러싼 혼란이 계속되면서 뉴욕증시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했다.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나스닥은 소폭 상승했고, 다우 및 S&P500 지수 또한 대부분의 낙폭을 축소했다.

7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349.26p(-0.91%) 내린 3만7965.60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1.83p(-0.23%) 떨어진 5062.25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5.47p(0.10%) 오른 1만5603.26에 장을 마쳤다.

장 초반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정부 인사들이 최근 시장 급변에도 불구, 관세 정책을 강행하겠다는 의사가 주말간 확인되면서 3대지수는 급락세로 출발했다.

이후 상호 관세 부과가 90일 유예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지수는 반등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내 곧 '가짜 뉴스'인 것으로 판명되며 상승분을 반납했다. 하지만 지난 이틀간 단기 급락세가 깊었던 만큼 반발 매수세가 유입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34%의 대미 보복 관세를 8일까지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또한 국가별로 차등 부과하는 상호관세는 오는 9일부터 시행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다만 "관세 유예는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협상은 열려있다"며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다.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했다. 엔비디아(3.53%), 아마존(2.49%) 메타(2.28%), 알파벳(1.02%) 등은 모두 상승 반전한 후 거래를 마쳤다. 브로드컴(5.37%), 마이크론테크놀로지(5.65%), 슈퍼마이크로컴퓨터(10.66%) 등 인공지능(AI) 반도체주도 급등했다.

반면, 테슬라 주가는 장중 한 때 10% 이상 급락하다 2.56% 하락 마감했다. 애플도 3.67% 떨어졌다. 테슬라와 애플의 낙폭은 중국 사업 비중이 크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국채금리는 급등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11.8bp 오른 3.788%를 기록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21.2bp 급등한 4.203%로 마감했다. 통산 채권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달러는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날보다 0.45% 오른 103.49로 집계됐다.

국제유가 역시 상호관세 여파에 급락세가 이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29달러(-2.08%) 하락한 배럴당 60.70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는 1.37달러(-2.09%) 밀린 배럴당 64.21달러로 집계됐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급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4.78% 내린 6927.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4.38% 밀린 7702.08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4.13% 떨어진 1만9789.62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4.55% 하락한 4656.41에 장을 마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