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스코는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건설 예정인 현대제철(004020) 전기로 제철소에 대해 지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투자가 현실화하면 국내 1·2위 철강 업체가 나란히 관세 장벽을 정면 돌파하기 위해 미국 현지에서 손을 맞잡는 '빅딜'이 될 전망이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현대제철 미국 제철소에 대한 지분 투자를 포함해 미국 투자와 관련한 여러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2기가 이미 철강 제품에 25% 고율 관세를 매겨 미국 시장 진입 장벽을 높인 가운데 수년째 중국발 공급 과잉, 내수 부진에 시달려온 국내 철강 업계가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전략적 선택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자동차강판에 특화한 이 제철소는 연간 270만톤 생산 규모를 갖출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해당 제철소에 대한 투자금 총 58억달러(약 8조3000억원) 중 절반은 외부 차입으로 충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현대제철 등 계열사 및 기타 투자자와 지분 출자를 협의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 포스코가 현대제철의 유력한 투자 파트너로 거론되는 상태다. 현대제철뿐 아니라 포스코 역시 미국을 전략적 핵심 시장으로 보고 있다. 작년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 중 미국 비중은 약 13%였고, 포스코도 같은해 미국에 약 50만톤 규모의 열연강판을 수출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해 한국산 철강에 연간 263만톤 규모의 무관세 수출 쿼터를 설정한 데 이어, 트럼프 2기 들어서는 25%의 고율 관세까지 부과하면서 미국 수출은 포스코에도 부담 요인이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인도와 북미 등 글로벌 성장 시장에서 소재부터 제품에 이르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으로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고율 관세 부담을 줄이고 미국 내 철강 수요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려면 포스코가 현대제철의 미국 제철소 투자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다만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미국 투자와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현 시점에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