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 등락률. ⓒ 한국은행
[프라임경제] 지난달 미국의 관세 부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지만 국제 유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수입물가가 두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6일 발표한 '3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4% 하락한 143.04를 기록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2.2%) 반등한 이후 줄곧 상승세를 기록하다 지난 2월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3.4% 오르면서 상승 폭이 전월(4.3%)보다 축소됐다.
수입물가가 하락한 배경에는 국제유가 영향이 컸다. 원·달러 환율 상승폭보다 국제유가 하락폭이 더 커 수입물가에 하락 영향을 준 것이다.
지난달 월평균 원·달러 환율은 전월 대비 0.8% 상승한 1456.95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월평균 국제유가(두바이유)는 배럴당 77.92달러에서 72.49달러로 7.0% 하락했다.
수입물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3.3% 하락했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과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7%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1.6%, 0.9% 올랐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원유(-6.2%) △천연가스(LNG)(-1.3%) △나프타(-3.9%) △2차전지(-3.5%) 등이 내렸다. 반면 △쇠고기(+3.5%) △기타귀금속정련품(+5.1%) 등은 올랐다.
환율 효과를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지난달 수입 물가는 전월 대비 1.4%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4.9%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향후 수입 물가 흐름에 대해 "수입 물가 조사가격에 관세가 포함되지는 않지만, 관세에 따른 글로벌 경기, 시장 수급 상황, 업체별 가격 책정 전략 변화가 수입 물가에 영향을 줄 수는 있다"며 "정책 불확실성이 크고 상하방 요인이 모두 있다 보니 언제 얼마나 영향이 나타날지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한 135.0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0.6%) 하락 전환한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6.3% 올랐다.
부문별로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1.6% 상승했다. 공산품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와 1차금속제품 위주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냉동수산물(+2.7%) △플래시메모리(+6.1%) 등이 올랐고, △경유(-5.3%) △제트유(-7.1%) 등은 가격이 내렸다.
우리나라 교역조건을 보여주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3.2%)이 수출가격(-2.4%)보다 더 크게 하락해 0.8% 상승했다.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의미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량지수(3.4%)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30.8%)가 모두 오르면서 4.3%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