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9일 "앞으로 각계각층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현장 연구자들과 적극 소통해 우리에게 꼭 필요한 연구개발(R&D)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상임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처음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은 말을 했습니다.
그는 "최근 국가 R&D 예산 편성과정에서 과학기술계와의 소통이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과학기술과 디지털이 국가 경쟁력이 되는 시기에 후보자로 지명돼 막중한 책임감과 소명감을 느낀다"고 했습니다.
또한 "기술 패권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시대에 기술 주권 회복과 확보가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 후보자는 서울대 요업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신소재 공동 연구소장을 역임하는 등 재료공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이어왔습니다.
만약 임명된다면 유 후보자는 전임 최기영, 임혜숙, 이종호 장관에 이어 네 번째 연속 과기계 교수 출신 장관이 됩니다.
하지만 정보통신(IT) 분야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 유 후보자는 "저는 소재부품을 했던 사람이고, 했던 부품 대부분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필요한 전자 부품이다. 어떤 응용 분야가 있는지 잘 알고 있으며 이해는 충분히 갖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정책 추진력과 국회와의 협상력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한 분야에서 많은 소통을 가졌고, 그런 부분에서 정계 및 산업계와 원활히 소통할 수 있다고 자신한다"고 답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 후보자는 "중저가로 국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며, "우리는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반드시 이겨내야 미래를 보존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 경쟁에서 이겨 나가서 성공적인 기반을 구축하는 일에 헌신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