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대출 실수요자들은 여전히 금리 혜택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들이 연말 가계대출 총량을 조절하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3%대 초반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금융채 5년물 금리가 하락한 영향입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출을 받는 소비자들은 이 같은 금리 인하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폐지하거나 비대면 대출을 중단하는 등 강도 높은 대출 제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대금리차 역시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지난 10월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는 평균 1.04%포인트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소비자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비상계엄 사태가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심화시키면서 대출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고채 금리와 은행채 금리가 동반 상승하며 대출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는 중입니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가계대출 관리 목표치를 더욱 세분화해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도 대출 실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