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국내 첫 '초소형 군집위성' 발사 최종 성공

세종기지서 양방향 교신…2027년부터 군집형태 지구관측 임무 수행

박지혜 기자 | pjh@newsprime.co.kr | 2024.04.24 17:12:44
[프라임경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4일 오전 7시 32분(현지시간 오전 10시 32분)에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초소형군집위성 1호 발사 장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발사 후 4시간 25분인 11시 57분경(한국시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의 대전 지상국을 통해 수신한 위성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돼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하는 등 위성 상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가적으로 오후 2시 13분 및 3시 44분경에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교신한 결과, 양방향 교신이 정상적으로 이뤄져 위성 발사가 성공했음을 확인했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는 앞으로 위성의 기능별 점검 등 초기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당초 계획한 궤도(약 500km 상공)에서 초소형 군집위성 1호의 위성체 및 광학 탑재체의 성능을 1개월간 시험하고 관측 영상의 품질을 5개월 동안 점검할 계획이다.

점검이 마무리되는 올해 11월부터 1호 위성은 본격적으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KAIST(인공위성연구소)가 과기정통부와 국가정보원의 지원을 받아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을 통해 개발한 지구관측 실용위성이다. 

초소형 위성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KAIST가 총괄하는 사업으로, KAIST가 쎄트렉아이와 함께 위성시스템을 공동 개발했다. 항우연이 국내 다수 우주기업과 함께 지상시스템‧검보정과 활용시스템을 개발했다.

민간 우주 시대에 걸맞게 향후 경제성있는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용부품을 많이 활용하면서 경량화·저비용화·저전력화의 개념으로 개발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3년 이상 약 500km 상공에서 해상도 흑백 1m급, 컬러 4m급의 광학 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이번에 발사 성공된 1호 위성을 시작으로 2026년, 2027년에 각 5기, 총 10대의 위성이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후속 발사될 예정이다. 

2027년 하반기부터 총 11대의 위성이 군집의 형태로 운영‧활용될 경우 한반도를 하루 3번 이상 관측할 수 있게 돼 기존의 중대형 지구관측위성의 역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이번 초소형 군집위성 1호 발사 성공은 개발‧제작‧발사 전과정에 걸쳐 산학연 역량이 결집된 결과"라며 "후속위성들도 뉴스페이스 시대에 걸맞게 차질없이 개발해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고 우주산업을 지속 육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은 "국가안보의 범위가 우주공간까지 확장되고 있는 만큼, 이번 위성개발을 계기로 국가 우주안보의 기반이 되는 핵심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국내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민간과의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