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오늘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3.0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은은 지난해 시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며, 이어 11월에도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금리를 낮춰, 두 달 연속 추가 인하에 나선 바 있습니다. 당시 성장 부진 징후가 뚜렷해 경기 부양 필요성이 커진 상황이었습니다.
새해 첫 기준금리 결정 앞두고 시장에서는 인하와 동결 전망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채권 전문가 백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동결 전망이 60%, 인하 전망이 40%로 의견이 갈렸습니다.
금리 동결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원·달러 환율 상황입니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원화가 급락하며 연말에는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480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내릴 경우, 한미 간 금리 차가 더 벌어져 원화 약세와 자금 유출, 환율 상승을 촉진할 우려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언급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최근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인플레이션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이 경제에 미칠 불확실성 우려를 이유로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시사도 있었습니다.
한국은행의 이 같은 선택으로 당분간의 물가 안정은 이어가겠지만, 계엄령 선포 이후 시작된 RP매입 급증이 가져올 후폭풍은 아직 시작도 안했다는 전망입니다. 많은 부분에서 시장의 우려가 지속될 예정입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